[신춘문예 표절]서지월 시<진달래산천>과 2005년 조선일보 당선시 비교
#견해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200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이 -대구시인학교 서지월선생님의 시 <진달래 산천>과 -너무나도 한 편의 시를 구가해 낸 방식이 똑 같아보여 소개합니다 -각자의 견해를 대구시인학교 홈페이지 <시토론방>에 올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한 편의 시란 개인 고유권한의 창작물로서 남의 기법으로 둔갑해서는 안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아래에 원문과 분석을 해놓았으니 참조하시면 좋겠습니다>
|
<분석자료>============================================================
**위의 서지월선생님의 시 <진달래산천>과
200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시 <소백산에는 사과가 많다>와
잘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서지월선생님의 시 <진달래 산천>(중앙일보 2001년 4월 4일자)과 올해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시
<소백산에는 사과가 많다>를 잘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발상이 너무나 똑같고 이미지 처리 방식과
구사능력 또한 너무나 일치합니다.
예를 들면,
-진달래꽃 속에는 조그만 초가집 한 채 들어 있어
-다듬잇돌 다듬이 소리 (서지월 시)
-사과나무 한 그루마다 절 한 채 들었다
-종마다 귀 밝은 소리 (김승해 시)
가 그것으로 시작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낮이면 들려오는 다듬이 소리 (서지월 시)
-급기야 안양루 대종 소리 (김승해 시)
에서 알 수 있듯이,
-서지월 시: <진달래꽃> 한 떨기씩 모여 <온 산천> 전체가 <다듬이 소리>로 울려퍼지듯
-김승해 시: <사과> 한 알씩 모여 <소백산> 전체가 <대종소리>로 울려퍼지는 것으로
한 편의 시를 완성하는 기법 또한 너무나 일치하는 것이다.
<참조>
#[중앙일보]시가 있는 아침(오세영 해설/중앙일보, 2001년 4월 4일자)
#[서지월시집]소월의 산새는 지금도 우는가(2004년,시와시학사)
**그리고,
몇해전 조선일보 신춘문예 최종심 3강에 오른
대구시인학교 이채운회원의 시 <사과알 속의 수행자>라는
기발한 상상력의 시가 있는데.
올해 조선일보 신춘문예 김승해씨의 당선시 시<소백산엔 사과가 많다>는
이채운시인의 사물을 보는 시적 상상력과도
너무나도 일치함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이런 건 그렇다치더라도
서지월선생님의 시<진달래산천>의 경우
서지월선생님의 시<진달래산천>을 통째로 옮겨놓은 듯한 느낌이다.
어떻게들 생각하고 보시는지, 각자의 의견을
대구시인학교 홈페이지 <게시판>에 올려주시면
많은 이들이 시공부하는데 혜안이 될 줄로 안다.
참 고로, 다음은 이채운시인의 시 <사과알 속의 수행자> 전문이다.
♤ 사과알 속의 수행자 ♤
- 이 채 운 -
밤낮 한 그루 사과나무를 쳐다보고 있는 수행자가 있다 가는 실끝 잡아당기듯 번쩍거리는 눈과 코,여문
턱이 허공을 민다 붉은 껍질 벗기고 속살을 훔쳐보기라도 하는지 미동조차 하지않고 응시하면 사과나무는
수줍은 듯 몸을 떤다
차츰,사과나무는 비바람에 시달리던 지난 이력과 몸 속 켜켜이 쌓인 독기를 풀어놓았다 쉴새없이 피워낸
수많은 말들이 수행자의 가슴을 강물처럼 돌아 흐른다 살 속을 후벼파는 벌레와 집적거리는 뭇새들
훠어이,훠어이- 쫓아버리고 희고 둥근 방 속으로 맨발의 그가 걸어 들어간다
사과알 속은 환하고 따스하다 거칠던 바람이 사과나무 주변으로 오던 고약한 성미 기어들고 태양도 그들을
달래어 걸러진 빗살 내쏜다 수행자가 고개를 내밀고 바깥을 내다본다 시끄러운 세상사가 두어 번 뒤척이더니
그의 호흡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한번씩 숨을 들이킬 때마다 사과알이 점점 크고 불룩해진다
**몇 해전,조선일보 신춘문예 최종심에서 3편이 올랐는데 심사위원인 황동규시인은 이 시 <사과알 속의
수행자>와 함께 최종심에 오른 3편의 시 어느 것이 당선되어도 손색 없다고 평했던 작품이기도 하다.
'문학과 인생 > ☞우리시대 문단쟁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ㅁ[문화저널21]오세영 시인, "동명이인 시편에 정신적 고통" (0) | 2010.03.05 |
---|---|
[삼족오통신]문학은 문학 그 자체로 존재해야 한다 (0) | 2009.07.17 |
[삼족오통신]<중국조선족 문학쟁점>-니카에 바란다 (0) | 2009.07.17 |
문학은 문학 그 자체로 존재해야 한다 (0) | 2009.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