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나온 책 소개/[한국 새시집 소개]

[한국시인협회]<국보사랑 시집>불멸이여 순결한 가슴이여

아미산월 2010. 3. 7. 07:36

ㅁ[한국시인협회]<국보사랑 시집>불멸이여 순결한 가슴이여

var openLocationLayerName = ""; function showLocationLayer(layerName) { if (layerName == null) { return false; } document.getElementById(layerName).style.left = ((document.getElementById("category_" + layerName).offsetLeft + document.getElementById("category_" + layerName).parentNode.offsetLeft) - 7) + "px"; openLocationLayerName = layerName; var layerObj = document.getElementById(layerName); layerObj.style.display = ''; } function setLayerClassName(objName, className) { document.getElementById(objName).className = className; } function hideLocationLayer(objName) { if (objName == null) { return false; } openLocationLayerName = ""; setTimeout('hideLocationLayerByName("' + objName + '")',50); } function hideLocationLayerByName(objName) { if (openLocationLayerName != objName) { var layerObj = document.getElementById(objName); layerObj.style.display = 'none'; } } var nsc = "book.detail"; var ccsrv = "cc.naver.com"; var nclk_evt = 3; nclk_do();

불멸이여 순결한 가슴이여   
0.0
| 네티즌리뷰 0건
오탁번  저 홍영사 2009.11.25 var target = document.getElementById("baseBiblioInfo"); var tempTag = document.getElementById("tempBaseBiblioInfo"); tempTag.innerHTML = target.innerHTML; if(tempTag.offsetWidth > 500 && tempTag.offsetWidth < target.offsetWidth) { var moreHtml = "기본정보 더보기"; target.innerHTML = target.innerHTML + "
" + moreHtml; } else { var moreHtml = "기본정보 더보기"; target.innerHTML = target.innerHTML + moreHtml; } tempTag.style.display="none";
기본정보 더보기

기본정보

ISBN
9788992700061
페이지 수
464 페이지
정가
25000 원
도서관 소장 정보
국립중앙도서관
닫기
리뷰쓰기 책찜하기

책소개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var bookIntroHeight = document.getElementById("intro").offsetHeight; document.getElementById("intro").style.display="none"; if(bookIntroHeight > 400){ document.getElementById("simpleIntro").style.height="400px"; document.getElementById("simpleIntro").style.overflow="hidden"; document.getElementById("openIntroSection").style.display=""; document.getElementById("closeIntroSection").style.display="none"; }else{ document.getElementById("openIntroSection").style.display="none"; document.getElementById("closeIntroSection").style.display="none"; }

저자소개

오탁번

저자 김남조 외
김남조·김종길·고은·신경림·박희진·유안진·김후란·이근배·윤후명·오탁번·김광림·황금찬·이성부 등 한국의 현역 시인 160인이 이 시집을 꾸몄다.

var authorIntroHeight = document.getElementById("authorFullIntro").offsetHeight; document.getElementById("authorFullIntro").style.display="none"; if(authorIntroHeight > 200){ document.getElementById("simpleAuthorIntro").style.height="200px"; document.getElementById("simpleAuthorIntro").style.overflow="hidden"; document.getElementById("openAuthorSection").style.display=""; document.getElementById("closeAuthorSection").style.display="none"; }else{ document.getElementById("openAuthorSection").style.display="none"; document.getElementById("closeAuthorSection").style.display="none"; }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

차례
책머리에·국보사랑 시운동의 의의 오탁번

천년을 울어 또 천년을 울어

국보 제1호·서울숭례문·숭례문/김남조
국보 제2호·원각사지십층석탑·흰 빛을 말하다/권현형
국보 제3호·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비(碑)의 의미/이승하
국보 제4호·고달사지부도·폐사지의 봄/김유선
국보 제6호·중원탑평리칠층석탑·중앙탑을 노래함/신경림
국보 제7호·봉선홍경사사적갈비·봉선홍경사갈비/유재영
국보 제8호·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귀부의 꼬리를 바라보며/구재기
국보 제9호·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적막, 먹빛으로 번지다/이재무
국보 제10호·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푸르게 일렁이는 하늘/이시연
국보 제11호·미륵사지석탑·미륵사지 석탑/김형영
국보 제12호·화엄사각황전앞석등·내 마음의 화엄/이지엽
국보 제13호·무위사극락전·무위사 극락보/김선태
국보 제17호·부석사무량수전앞석등·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이하석
국보 제18호·부석사무량수전·무량수전/문인수
국보 제19호·부석사조사당·선묘의 섬/정숙
국보 제20호·불국사다보탑·불국사 다보탑/신달자
국보 제21호·불국사삼층석탑·무영탑/김종해
국보 제23호·불국사청운교백운교·청운교 백운교/문덕수
국보 제24호·석굴암석굴·석굴암/고은
국보 제24호·석굴암석굴·석굴암 대불(大佛)/조오현
국보 제25호·신라태종무열왕릉비·거북의 꿈/김종섭
국보 제26호·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내 마음을 가져가요/ 홍영철
국보 제27호·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봄날/김성춘
국보 제28호·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하루 웃고 살기가/오시영
국보 제29호·성덕대왕신종·성덕대왕 신종/유안진
국보 제30호·분황사석탑·분황사 석/서영수·

붉은 해 오늘도 저 산하를 넘고

국보 제31호·경주첨성대·경주 첨성대/박희진
국보 제32호·해인사대장경판·팔만대장경판/문효치
국보 제33호·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웅대한 표상, 빛벌가야를 흔들다/이수익
국보 제35호·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솔바람에 나부끼는 석탑/윤강로
국보 제36호·상원사동종·파문/우대식
국보 제40호·정혜사지십삼층석탑·땅의 별자리들/전동균
국보 제42호·목조삼존불감·목조삼존불감/정양
국보 제44호·보림사삼층석탑 및 석등·오랜 고요/신병은
국보 제46호·부석사조사당벽화·부석사 조사당 벽화(浮石寺 祖師堂 壁畵)/이경림
국보 제47호·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그가 흰 햇빛 속을 걷네/정영선
국보 제49호·수덕사 대웅전·수덕사 버선꽃/ 최문자
국보 제50호·도갑사해탈문·해탈문에서/서춘기
국보 제51호·강릉객사문·객사문, 객사문(客舍門, 客死門)/송준영
국보 제52호·해인사장경판전·세상에서 제일 큰 집/김후란
국보 제55호·법주사팔상전·팔상전, 달빛/이길원
국보 제56호·송광사국사전·송광사 국사전/송수권
국보 제57호·쌍봉사철감선사탑·철감선사가 살아 있다/강경호
국보 제60호·청자사자유개향로·청자사자유개향로/이탄
국보 제62호·금산사미륵전·미륵이여, 미래불이여/이가림
국보 제63호·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그 사내/윤석산
국보 제64호·법주사석연지·법주사 석연지(法住寺 石蓮池)/임강빈
국보 제65호·청자기린유개향로·날렵한 꼬리 부디 내리지 마요/이정란
국보 제66호·청자상감유죽연로원앙문정병·빈자/이기와
국보 제67호·화엄사각황전·못난이들이 지은 화엄세상/홍사성
국보 제70호·훈민정음·아아, 훈민정음/오세영
국보 제71호·동국정운 『권1, 6』·동국정운을 기리는 푸른 생명의 노래/최동호

천년의 하늘이 푸르게 고여 있네

국보 제73호·금동삼존불감·금동삼존불감/임보
국보 제75호·표충사청동함은향완·표충사 청동함 은향완/이우걸
국보 제76호·이충무공난중일기부서간첩임진장초·초서경전/이근배
국보 제77호·의성탑리오층석탑·석탑, 그대/이기철
국보 제83호·금동미륵보살반가상·금동반가사유상/김종길
국보 제84호·서산마애삼존불상·백제의 미소/김지헌
국보 제86호·경천사십층석탑·경천사 십층석탑/김혜원
국보 제87호·금관총금관·왕이여 고단한 영광이여/이화은
국보 제89호·금제교구·왕이여, 왕이시여/정숙자
국보 제90호·금제태환이식·천년 약속/김추인
국보 제91호·도제기마인물상·도자기에 담긴 주술사/김지향
국보 제93호·백자철화포도문호·백자철화포도문호/정재분
국보 제94호·청자소문과형병·꽃 궁전에 들다/강영은
국보 제96호·청자귀형수병·꽃이 바람의 등을 밀다/김영찬
국보 제98호·청자상감모란문항·모란 항아리/윤영숙
국보 제99호·갈항사삼층석탑·갈항사 삼층석탑 이야기/조영순
국보 제100호·남계원칠층석탑·자신만만 위풍당당/김신영
국보 제101호·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법천사 지광국사현묘탑/김영탁
국보 제102호·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정토사 홍법국사실상탑/서정춘
국보 제103호·중흥산성쌍사자석등·연꽃 위에 불 밝히시니/허형만
국보 제107호·백자철화포도문호·당신 앞에 서면/김여정
국보 제108호·계유명삼존천불비상·흐려진 미소여 미소 일천의 바다여/나태주
국보 제109호·군위삼존석굴·군위 삼존석굴/이태수
국보 제112호·감은사지삼층석탑·피리부는 탑/박수현
국보 제114호·청자상감모란국화문과형병·청자상감모란국화문과형병/정복선
국보 제115호·청자상감당초문완·청자상감초문완에 붙여/고창수
국보 제116호·청자상감모란문표형병·여인(女人)/서경온

그대, 내 안의 연꽃으로 피어나다

국보 제117호·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손광은
국보 제118호·금동미륵반가상·반가부좌만 하시게/이인원
국보 제120호·용주사동종·용주사 동종/임윤식
국보 제121호·하회탈및병산탈·탈놀이/이영식
국보 제122호·진전사지삼층석탑·진전사지 층석탑/이상국
국보 제123-4호·금동여래입상·금동여래입상/한영숙
국보 제124호·한송사석조보살좌상·석조보살좌불상님께!/이영춘
국보 제126-1호·금동제사리외함·금동제 사리외함/편부경
국보 제129호·금동보살입상·천년의 햇빛/김영진
국보 제130호·선산죽장동오층석탑·그대, 내 안의 연꽃으로 피어나다/정영숙
국보 제131호·이태조호적원본·끝나는 소리, 아니리/한영옥
국보 제135호·혜원풍속도·월하정인/오태환
국보 제139호·군선도병·흰 당나귀를 거꾸로 타고 어디로/안정옥
국보 제144호·월출산마애여래좌상·월출산 마애여래좌상 송/범대순
국보 제147호·울주천전리각석·울주 천전리각석/한광구
국보 제151호·조선왕조실록·그것은 우리들의 오래된 미래/이상호
국보 제154호·금제관식(왕)·타오르는 길/박미라
국보 제155호·금제관식(왕비)·가볍게 들어올리다/상희구
국보 제161-1호·청동신수경·청동신수경/박무웅
국보 제162호·석수·진묘수/이명수
국보 제163호·지석·이승에서 문패를 걸 듯/이향아
국보 제164호·두침·두침의 말/이생진
국보 제165호·족좌·W.W.W./신미균
국보 제166호·백자철화매죽문대호·숨쉬는 항아리/박이도
국보 제170호·청화백자매조죽문호·청화백자매조죽문호/박현령
국보 제176호·청화백자 「홍치명」 송죽문호·청화백자/김정인
국보 제179호·분청사기박지연어문편병·분청사기박지연어문편병/류현승

천마의 울음소리 광속으로 달려오고

국보 제180호·완당세한도·사랑 푸르름/윤후명
국보 제182호·금동여래입상·여래, 보위에 오르시다/최금녀
국보 제183호·금동보살입상·금동보살입상/서지월
국보 제185호·묘법연화경·묘법연화경/김향
국보 제188호·천마총금관·천마총 금관/박제천
국보 제189호·금모천마총·천마총 금모/정민호
국보 제195호·토우장식장경호·토우라는 아이/유홍준
국보 제197호·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륭탑·보각국사 정혜원륭탑/양채영
국보 제198호·단양신라적성비·약속/맹문재
국보 제200호·금동보살입상·금동보살(金銅菩薩)/김광자
국보 제201호·봉화북지리마애여래좌상·마애여래좌상 앞에서/ 문정영
국보 제205호·중원고구려비·고구려의 바람/김금용
국보 제206-1호·묘법연화경·혀/손진은
국보 제207호·천마도장니·천마도장니(天馬圖障泥)/오탁번
국보 제209호·보협인석탑·요람/고영섭
국보 제213호·금동대탑·금동대탑/이희정
국보 제216호·인왕제색도·인왕제색도/김상미
국보 제217호·금강전도·금강전도/김송배
국보 제219호·청화백자매죽문호·청화백자매죽문호/유자효
국보 제223호·경복궁근정전·근정전에서 만세 외칠 그날/김광림
국보 제224호·경복궁경회루·경회루/성찬경
국보 제225호·창덕궁인정전·활짝 핀 오얏꽃이여/허영자
국보 제226호·창경궁명정전·창경궁 명정전에서/이건청
국보 제227호·종묘정전·종묘/황금찬
국보 제228호·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천상열차분야지도/정진규
국보 제230호·혼천시계·둥근 어둠 속의 길/심재휘
국보 제236호·월성장항리사지서오층석탑·터/손현숙

그치지 않는 민족의 노래여

국보 제242호·울진봉평신라비·울진 봉평비의 꿈/정라곤
국보 제247호·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홀황/이은봉
국보 제248호·조선방역지도·땅끝 가는 길/조창환
국보 제259호·분청사기상감용문호·분청사기 상감 용문 호/박종국
국보 제260호·분청사기박지모란문철채자라병·흰 모란꽃/김종태
국보 제262호·백자대호·백자대호/유희봉
국보 제264호·영일냉수리신라비·신라의 돌문서/김윤희
국보 제270호·청자모자원형연적·청자모자원형연적(靑磁母子猿形硯滴)/신중신
국보 제273호·초조본유가사지론 『권제15』·청야/리산
국보 제279호·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 『권제74』·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윤관영
국보 제281호·백자주자·백자주자/최동은
국보 제285호·울산대곡리반구대암각화·미래에서 온 시/정일근
국보 제286호·백자발·조선의 그릇/이신
국보 제287호·부여능산리출토백제금동대향로·시방세계 다함 없는 향훈이거라/최승범
국보 제288호·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사리감 소묘/한분순
국보 제289호·익산왕궁리5층석탑·돌손바닥에 놀고 가는 선녀구름같이/강인한
국보 제294호·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병·일월이 나를 낳으리라/노향림
국보 제296호·칠장사오불회괘불탱·착한 미소/송명진
국보 제298호·갑사삼신불괘불탱·갑사 삼신불괘불탱/ 김백겸
국보 제299호·신원사노사나불괘불탱·극락을 보다/윤문자
국보 제300호·장곡사미륵불괘불탱·장곡사 미륵불괘불탱/박만진
국보 제302호·청곡사영산회괘불탱·오오, 저 장엄/진경옥
국보 제304호·여수진남관·허공으로 지은 집/양해열
국보 제306-2호·삼국유사 권1-5·삼국유사/김은자
국보 제307호·태안마애삼존불·입상/박주택
국보 제308호·대흥사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바위의 말/이성부
국보 제310호·백자대호·달항아리/최영규
시인 약력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