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 徐芝月 詩人,제9차 만주기행]
**심예란시인 연변지용문학상 시상식 참가! ∵∵∵
▲지난 6월 제8차 만주기행에서 두만강 사이섬(間島)을 찾아 조선이민족이
사용했을 법한 사발을 하나 발견해 흐뭇한 표정으로 들고있는 韓國 徐芝月 詩人.
한국 서지월시인은 지난 6월 19일부터 7월 9일까지, 장장 20박 21일이라는 제8차 장기 만주기행에 올라
길림성 대형문예잡지「장백산」과 길림신문사 그리고 장춘사범대학 한어문학학원 초청으로
한국시인으로서는 유일하게 한중국제세미나에 토템시 주제발표자로 참석하게 된 것을 필두로
장장 9시간에 걸쳐 남하하여 연길에서 14일간 머무르면서
연길인민방송국 아리랑방송에 생방송으로 40분간 출연하여 민족정서를 노래해 온
한국시인으로서의의 삶을 피력했으며 또한, 7월 5일부터 7월 7일까지 2박 3일간은
연변시인협회에서 주관한 현지시창작체험기행이 훈춘시 영안현 농촌마을에서 실시되어
현지시창작체험에 한국시인으로 유일하게 참여하게 되었으며
중국북방교역협회에서 주관한 웅장한 연변군중집단무를 관람하는 절호의 기회도 가지게 되었는가 하면
3만명이 넘는 출연진의 장엄한 스캐일로 이뤄진 군중무는 바로 조선민족의 혼이 담긴 <장백산 진달래>였던 것이다.
연길의 연변시인들 대상으로 한국의 고급 현대시를 소개하는 한중시창작 특강도 세 차례에 걸쳐 실시해 연변대학 조문학부 대학생들부터 70대 원로시인들까지 경청을 했는데 큰 호응을 얻었는가 하면
두만강 최하류 즉 러시아와 중국, 그리고 북한과의 경계를 이루는 방천까지 닿았는데
두만강을 국경으로 북한과 중국 그리고 러시아 3국의 국경지대였었다.
용정을 거쳐 개산툰을 지나 북한과 경계인 사이섬(간도:間島) 기행도 가졌는데
간도(間島)라는 말이 생겨난 곳으로 역시 우리 민족 이주사에 중요한 덕목으로 자리잡고 있는 곳이었다.
서지월시인은 거기서 지난 시절 조선인이 살았을 적 사용했던 것 같은 밥사발을 하나 기념으로 주어 가져오는 행운을 갖기도 했었다.
훈춘시를 두고 흐르는 두만강 역시 북한과 국경을 이루고 있었으며
도문 양수진을 흐르는 두만강은 북한의 온성과 경계를 이루고 있었는가 하면
삼합과 국경을 이루고 있는 두만강은 북한의 회령과 경계를 이루고 있었는데
한순간도 마음놓고 있지 못할 정도로 긴장감이 감도는 두만강 변경을 체감했던 것이다.
그래도 즐비한 옥수수밭과 감자 콩 등 잡곡류가 심어져 더운 여름을 이겨내고 있었는데
드문드문 마을을 이루고 있는 붉은 벽돌집 앞 텃밭에는 호박 오이 가지 고추들이
한 생을 맡긴 듯 달려 한적한 농촌풍경 속에 조선속의 삶이 영글고 있었다고 서지월시인은 술회했다.
연변일보 장경률 논설주필과의 대화, 연변가시신문<두만강여울소리> 황상박 주필과의 만남
연변 원로아동문학가 한석윤시인과의 만남 속에서 조선민족의 문학의 혼을 체득할 수 있었던 것이다,
◇ ◇ ◇ ◇ ◇
서지월시인의 이번 제9차 만주기행은, 9월 1일(월)부터 9월 12일(금)까지로
중국남방항공으로 9월 1일(월) 오후 2시 35분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연길공항에 오후 3시 40분에 도착한다. 한국 귀국날짜는 9월 12일(금)이다
★한국 정지용문학상 백담사 만해마을 조오현스님시인 수상!!
★중국 정지용문학상 연변작가협회 조선족 심예란시인 수상!!
{
new_win=window.open('skin/Cubic_gallery_by_hoony/view_img.php?file=data/photo_03/syr774pm.jpg','img_win','left=0,top=0,width=1, height=1, resizable=yes, scrollbar=no,status=no'); new_win.resizeTo!(425,440); new_win.focus()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function anonymous()
{
viewoff(); return true;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ver="function anonymous()
{
return true;
}">
◆중국 연변 심에란시인, 한국 조오현스님(시인)
제9차만주기행에서 서지월시인은 오는 9월 2일 중국 연변자치주 연길시 연변대학 음악홀에서
오후 4시부터 개최되는 연변조선족 심예란시인(45세) 「연변지용문학상」시상식에 참가한다.
중국 만주땅의 가장 권위있는 문학상의 하나인「연변지용문학상」은
한국 옥천군과 한국 지용회에서 주관하는 국제적인 문학상으로
한국 대구시인학교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중국 조선족 심예란시인이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되었다. 지난해 한국 지용문학상은 백담사 만해마을
조오현스님시인이 시 <아득한 성자>로 수상했다.
이 행사는 한국 옥천 출신 정지용의 시문학정신을 중국 동포에게 심어주고 유망한
동포문학인 발굴을 위해 마련 개최됐으며, 연변지용문학상 시상과 음악제, 무용제, 노래,
시낭송 등 축하공연으로 다채롭게 꾸며지는데 심예란시인의 ‘자전거 수리공’ 등 100여편의
시작품이 올해 연변지용문학상 수상작으로 뽑혔다.
수상자인 심예란시인에게는 연변지용문학상 상패와 시집 1000권을 발행해 준다.
서지월시인은 한국 대구에 거주하지만 중국 만주땅에서 대구시인학교 조선족 회원이
연변의 노벨문학상이라 일컫는「연변지용문학상」을 수상하게 되어
스승의 도리로 만사를 다 제치고 참석하게 된 것이다.
서지월시인의 이번 제9차 만주기행 12박 13일간에는
한중시창작 특강도 연길에서 다시 갖는데 한국 <낭만시> 대표로 있는
김세웅시인 시집 <칼과 연못>(문학의 전당)에 이어
현대시창작강좌 대구시인학교 20년 역사상 가장 이름을 빛낸
대구의 정이랑시인(「문학사상」으로 등단) 시집<떡갈나무잎들이 길을 흔들고>(황금알)을
텍스트로 시창작강의를 한다.
(*****참석자 전원에게는 한국 대산문화재단 창작지원금 수혜 선정
정이랑 시집<떡갈나무잎들이 길을 흔들고>를 정증한다.)
또한, 한국의 정지용문학상은 지난해 백담사 만해마을 조오현스님(시인)께서 수상했는데
무산 조오현스님의 정지용문학상 수상시집 <아득한 성자>에 수록된 시들도 특강한다.
또한 서지월시인은 문학역사기행의 시간을 갖는데 백두산에서 발원하는 두만강 최상류
숭선지역을 돌아볼 예정이며 연변시인협회 김응준회장과 연변시조문학회 김철학회장
과의 만남도 계획되어 있다.
[동북아신문]연변 심예란시인 연변지용문학상 수상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