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현대경제연구원 주관 (2009년 11월 6일)

한민족사랑문화인협회 상임고문이며 일찌기 베스트셀러 「우리말의 상상력」(정신세계사)의 저자로 이름이 드높은 국어학자이며 '삼국유사 문화랜드'로 최우수상 수상한 바 있는, 삼국유사 권위자인 정호완교수님의 삼국유사 강연이 11월6일(금) 군위 삼국유사회관에서 갖는다. 또한 정호완교수님은 경북 와촌에 우거를 마련했으며 다음카페 <삼국유사학회>, <삼국유사이야기학교>를 개설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
한국 최고의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는 미당 서정주시인은 일찌기 한국민의 읽어야 할 제1의 필독서가 일연선사가 집필한 <삼국유사>라고 서지월시인께 말한 바 있다.
#다음카페 삼국유사학회 http://cafe.daum.net/samgukyusamal
알림글
가을의 소리와 빛이 선연합니다.
앞으로 군위군의 삼국유사 사업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삼국유사 학회를 준비하고자
합니다. 우리 문화의 보고인 삼국유사 학회가 잘 될 수 있도록 도움 말씀 주십시오.
우리가 힘과 슬기를 모으면 공든 탑을 쌓아 올릴 수있다고 믿습니다.
우리 한번 팔 걷어부치고 정말 열린 마음으로 시작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여러 분의 가정에 행복이 가득하시길 빌겠습니다
감내 정호완 두번 절

ㅡ우리 민족의 얼을 사랑하는 여러분들의 많은 가입과 참여 부탁 드립니다.
= 한민족사랑문화인협회 제공 =
◆정호완 교수 소개◆
▲한국 대구대학교 명예교수(국어학). 시조시인. ▲장춘 길림대학 초빙교수 역임.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사범대학장 및 평생교육원 원장 역임. 문화콘텐츠연구소장. 한국어문교육학회장. 우리말글학회장. 한국어문학회장. 어문연구학회장 역임. ▲중국 길림신문-한국 대구대신문 공동 <비호문학상> 제정에 기여함. ▲한글학회 표창. 경북문화상, 옥수수 다수확상 수상. ▲베스트셀러「우리말의 상상력」(정신세계사) 저자.
▲시조집 『올 날이 아름답다』,『배달의 노래』,『백두산 아리랑』등 있음. ▲삼성현 역사공원' 조성사업 자문위원 ▲일연학 연구원, 삼국유사 문화제 위원. ▲한국 한겨레신문에 <동물 이름> 연재.
<정호완교수 저서>
1 〈[정호완]〉,『가야의 언어와 문화』,보고사,p.313,2007.06.27 2 〈[정호완]〉,『초원의 빛을 찾아서』,대구대학교출판부,p.135,2006.07.31 3 <[정호완]〉외 44명,『제천시지』,제천시지편찬위원회,pp.97-125,2004.12.31 4 〈[정호완]〉,『국어교육학의 얼개』,중문,p.253,2004.12.01 5 〈[정호완]〉,『어머니, 그 뿌리와 가지』,나무아래 사람,p.262면,2004.08.20 6 〈[정호완]〉,『마음의 거울』,중문출판사,p.293면,2003.08.05 7 〈[정호완]〉,『『땅이름의 문화 찾기』,이회문화사,pp.1-340,2003.01.30 8 〈[정호완]〉,『『한국어의 발달과 의존명사』,이회문화사,pp.1-330,2003.01.30 9 〈[정호완]〉,『『우리말의 상상력 1』,이회문화사,pp.1-348,2003.01.30 10 〈[정호완]〉,『『전설의 향기』,중문출판사,pp.1-300,2003.01.30 11 〈[정호완]〉,『『김천의 마을』,이회문화사,p.400면,2002.12.31 12 〈[정호완]〉,『우리말의 문화적 상상력 (2)』,이회,pp.1-358,2002.08.31 13 〈[정호완]〉외 3명,『경산의 전설과 민담』,중문출판사(경산문화원),p.421면,2002.02.28 14 〈이동근〉,〈정호완〉,『경산의 임란의병항쟁』,경산문화원,p.298,2000.02.28 15 〈[정호완]〉,『경산의 산하』,경산문화원,p.224면,1999.12.28 16 〈권재선〉,〈오상태〉,〈조두섭〉,〈서경석〉,〈최창록〉,〈박진태〉,〈최승호〉,〈김태엽〉,〈정호완〉,〈이강언〉,〈이동근〉,『비호골이야기』,대구어문연구회,p.347,1999.02.25 17 〈[정호완]〉,『경산의 지명유래』,태학사,p.397,1998.08.31 18 〈유달선〉,〈권태동〉,〈정호완〉,〈박진태〉,〈이강언〉,〈박성복〉,〈신준식〉,〈장태구〉,〈전원배〉,〈조순제〉,〈김정헌〉,〈이재춘〉,〈류장발〉,〈김태엽〉,〈최병두〉,〈김춘일〉,〈오세창〉,〈이경태〉,〈이명식〉,〈이문수〉,〈이동근〉,문경현,〈조두섭〉,『영양군지』,영양군,p.1197,1998.05.25 19 〈박정옥〉,〈고익환〉,〈우재현〉,〈권기덕〉,〈박충선〉,〈전문장〉,〈김정성〉,〈김명수〉,〈이경태〉,〈이문수〉,〈정호완〉,〈박태영〉,〈이경호〉,〈김광근〉외 1명,『인간과 윤리』,대구대학교 출판부,p.432,1998.02.25 20 〈[정호완]〉,『영양군 마을유래 내고향의 옛이름』,영양문화원,p.192,1997.05 21 〈박정옥〉,〈김광근〉,〈권기덕〉,〈이경태〉,〈전문장〉,〈김정성〉,〈김명수〉,〈정호완〉,『인간과 윤리』,대구대학교 출판부,p.455,1997.03.02 22 〈[정호완]〉,『올 날이 아름답다』,도서출판 재활공학,p.118,1996.10.26 23 〈[정호완]〉,『우리말로 본 단군신화』,명문당,p.360,1994.09.30 24 〈[정호완]〉,『우리말의 상상력』,정신세계사,p.,1991.04.15 25 〈[정호완]〉,『배달의 노래』,그루사,p.154,1991.01.21 26 〈[정호완]〉,『낱말의 형태와 의미』,대구대학교출판부,p.327,1988.08.31 27 〈[정호완]〉,『후기중세어 의존명사 연구』,학문사,p.175,1987.08.30
<학술회의(발표)>
1 〈[정호완]〉,"'고맙다'와 곰 제의 문화",경희대민속연구소,『곰과 인간과 문화』,pp.81-91,2005.10.21 2 〈[정호완]〉,"대마도의 '소도'와 '-사키'에 대하여",우리말글학회,『우리말글정기발표』,pp.1-10,2005.08.27 3 〈[정호완]〉,"가야금 문화와 지명의 유연성",한어문교육학회,『한어문 정기학술발표』,pp.1-11,2005.08.13 4 〈[정호완]〉,"우리말의 상상력과 영재교육",한국예술영재학회,『예술영재 학회정기발표』,pp.1-13,2005.07.09 5 〈[정호완]〉,"우리말의 상상력과 영재교육",한국예술영재학회,『예술영재 학회정기발표』,pp.1-13,2005.07.09
<기타> 1 〈권태동〉,〈김정헌〉,〈박진태〉,〈류장발〉,〈정호완〉외 9명,"김천시사(상,하)",김천시,p.1500,2000.03.15 2 〈[이동근]〉,〈정호완〉,"임진왜란과 경산의 의병활동",경산시,p.142,1999.12.14 3 〈[정호완]〉,"춘천과 '맥'의 상관성",강원일보사,pp.186∼192,1993.08 4 〈[정호완]〉,"강릉의 땅이름과 '예'",강원일보사,pp.72∼78,1993.08 5 〈[정호완]〉,"우리말의 상상력과 영재교육",한국예술영재학회,『예술영재 학회정기발표』,pp.1-13,200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