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문화뉴스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학술발표연구회

아미산월 2009. 8. 16. 07:21

ㅁ[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학술발표연구회

 

 

 

 

 

 

 

 

 

 

 

 

 

 

 

 

 

 

 

 

 

 

 

 

 

 

 

 

 

 

 

 

 

 

 

 

 

30회
 
공동주제
토테미즘의 시적 형상화
- 南永前의 토템시를 중심으로-
 
주제발표

동물적 상상력과 우주와의 융화-남영전론 / 김영미
토템시 중국시단의 남영전현상 / 주정
문화원형의 시각에서 보는 남영전의 토템시 / 최삼용
남영전의 토템시 연구 / 김정훈
남영전의 인류학시야 / 전자복
남영전 토템시의 문화신분과 생태문학적 상상력 / 정봉희
남영전 토템시의 민족적, 탈근대적 성격 / 황정산
남영전 토템시의 가치추구와 그 표현방식 / 한춘
남영전 토템시와 國仙思想 / 서지월
중국에서의 남영전의 문화현상 / 김룡운
토템, 신화, 원융 - 남영전 토템시의 철학적 해석 / 손박 

 

종합토론
발표자 전원

 

날짜
2008. 6. 20  
장소
중국 장춘시 대화호텔 6층 회의실  

28회
29회
공동주제
중국 문화대혁명시기의 학문과 예술
양계초를 통해 본 근대 동아시아
주제발표

중국 변경 지역 하급 지식인의 문혁에 대한 기억 / 쳔리췬
문화대혁명에 대한 사회사상사적 이해 / 송영배
「공백」상의 흔적에 나타난 민족학 사회학자의 경우-페이샤오통 판광단을 중심으로 / 사카모토 히로코
문화대혁명 시기 역사학의 궤적 / 이개석
문화대혁명기의 문화계 권력의 변화 양상 / 김하림
정치권력에 예속된 文革시기의 ≪紅樓夢≫평론 / 고민희
문화대혁명 상징물로서의 양판희 / 양회석
연변의 문화대혁명 / 성근제

양계초와 루소 / 양태근 - 토론 : 문명기
양계초와 중국 국민성 담론 / 차태근 - 토론 : 이보경
민국시기 양계초의 정치 노선과 권력기초 / 오병수 - 토론 : 손승희
한국 내셔널리즘의 형성과 양계초 / 정숭교 - 토론 : 김정인

종합토론
좌 장 : 백영서(연세대)
토 론 : 발표자 전원 및 표교열ㆍ홍광엽ㆍ김병준ㆍ양일모

좌 장 : 표교열(한림대)
토론 : 발표자 토론자 전원

날짜
2006. 10. 20 - 21
2008. 5. 23
장소
한림대학교 고령사회교육센터 1층 국제회의실 및 담헌관 6층 세미나실 한림대학교 담헌관 6층 세미나실

26회
27회
공동주제
중국 산동성 이미지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동아시아 속의 경제+문화네트워크
주제발표

齊魯文化연구와 현재의 국학열 / 왕지민
진한시대 제로문화와의 성립과 유교 국교화 / 김병준
南北朝山東移民과 제로문화 / 程奇立
宋明시기 산동 유학의 발전과 변화 / 梁宗華
수호전 속의 제로문화 / 김민호
明代漢族文化復興下的齊魯文化 / 石玲
요제지이를 통해본 제로문화의 다양성 / 고민희
근대개혁사상가과 제로문화 / 양일모
近代西學在山東博播와 제로문화 변천 / 朱亞非

동아시아 철학사를 위하여 / 조동일
포스트 동아시아 서술의 가능성 / 孫 歌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의 성립과 한중일 불교 교류 / 최병헌
국제화와 동아시아 지정(地政) 문화 / 하마시타 타케시
고대 동아시아 교류의 열림과 닫힘 / 이성규
15세기 조선 해상 대회 관계로 본 동아시아 지역 / Kenneth Robinson
19세기말-20세기 초기의 황해권 교역 / 후루타 가즈코
종합토론
김병준, 양일모, 김민호, 고민희, 王志民, 朱亞非, 程奇立, 梁宗華, 石玲
발표자 전원
날짜
2005. 2. 16 - 17
2005. 10. 14 - 15
장소
한림대학교 담헌관(사회과학대학 별관) 6층
국제회의실
한림대학교 담헌관(사회과학대학 별관) 6층
국제회의실
24회
25회
공동주제
러일전쟁과 동아시아
동아시아의 근대와 민속학의 창출
주제발표

러시아의 러일전쟁에 대한 인식 / 최덕규 -
토론 : 강봉구
러일전쟁 전후의 한국 / 심헌용 - 토론 : 박영준 일본의 러일전쟁에 대한 인식 / 조명철 -
토론 : 최석완
중국의 러일전쟁에 대한 인식 / 오병수 -
토론 : 양일모
러일전쟁 전후의 한국문학 / 양진오 -
토론 : 김양선

근대 민속학자들의 민족이데올로기와 사회적실천 / 이상현 - 토론 : 이정재(경희대학교)
柳田國男과 一國民俗學의 창출 : 일본에서의 두 민속학의 계보 / 이와모토 미치야 - 토론 : 나카노 야스시
국민운동에서 한족주의로 : 중국민속학의 정치학 / 주영하 - 토론 : 박장배
구습에서민속으로 -일본제국주의와 식민지 대만의 문화정치 / 張隆志 - 토론 : 임경택
‘조선민속학’과 식민주의 : 조선민속학회론을 중심으로 / 남근우 - 토론 : 김기형
안동포의 근대화와 우월적 가치 확립 / 배영동 - 토론 : 주영하
가족관행의 근대국가적 편제 : 일제와 대한민국의 ‘국민’만들기 / 임경택 - 토론 : 황정미
무속 전통론의 창출과 유용 / 김성례 - 토론 : 최석영
종합토론
발표자 및 토론자, 남근우, 최태강
발표자 전원
날짜
2003. 11. 21
2004. 5. 28 - 29
장소
한림대학교 담헌관(사회과학대학 별관) 6층
국제회의실
한림대학교 외국어교육원 영사실
22회
23회
공동주제
동아시아 사회와 滿洲(中國東北地區) 대학의 개혁-누가 변화를 두려워하랴
주제발표

근대 이전 동아시아와 만주 / 노기식 -
토론 : 남의현
군벌시대와 만주(중국동북지구) / 송한용 -
토론 : 박 강
滿鐵과 9·18事變 / 곽홍무 - 토론 : 윤휘탁,
통역 : 왕 연
만철조사부의 활동과 의미 / 小林英夫 -
토론 : 임성모, 통역 : 정애영
조선과 만주국의 관계 / 한석정 - 토론 : 전상인

일본 국립대학의 개혁동향 / 한용진-
토론:윤종혁
인도의 대학개혁과 과학기술교육-IIT시스템을 중심으로 / 이옥순-토론:강희숙
미국의 대학 개혁
-하버드대찰스엘리엇 총장의 개혁을 중심으로 / 박정신-토론:김진희
'대학혁명', 우리들의 요원한 프로젝트 / 이광주-토론:전상인
종합토론
이병주, 발표자 및 토론자
발표자 및 토론자 , 김호일, 이석우, 서정복
날짜
2002년 11월 29일
2003년 2월 19일
장소
한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별관 6층 국제회의실 한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별관 6층 국제회의실
 
20
21회
공동주제
동아시아의 세계화와 언어 제국주의
일본의 동아시아 식민지 지배
주제발표

영어의 세계화 / 로버트 필립슨 - 토론 : 송승철 세계화와 언어문제 / 김영명 - 토론 : 송기형
국제화와 중국의 언어변화 / 맹주억 -
토론 : 박종한
세계화와 일본의 언어상황 / 이연숙 -
토론 : 서정완
우리 언어의 정체성과 탈식민주의 / 홍성민 - 토론 : 주경복
세계화와 남북한 언어문제 / 이병혁 -
토론 : 탁석산

식민주의의 두 얼굴 / 이옥순 - 토론 : 최기영
일본의 대만 식민지 지배 / 손준식 -
토론 : 김영신
일제하 '만주국'의 이민정책연구시론 / 김기훈 - 토론 : 박선영
통감부의 조직과 역할 고찰 / 박경룡 -
토론 : 한명근
박물관 건립과 식민지문화의 표상 / 최석영 -
토론 : 남근우
종합토론
발표자 및 토론자 : 송상용, 유팔무
발표자 및 토론자 : 김기순, 김호일
날짜
2000년 11월 10일
2001년 11월 30일
장소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한림대학교 외국어교육원 2층 소강당
     
18회
19회
공동주제
3.1독립운동의 의의와 특성
동아시아의 연고주의와 세계화
주제발표

일제의 식민지 체제와 경제적 수탈 / 정태헌 - 토론 : 이준식
강원지방의 3.1독립운동의 특성 / 최창희 -
토론 : 신재홍
3.1 독립운동과 여성의 역할 / 박용옥 -
토론 : 황선희
중국에서의 3.1독립운동 / 김 양(중 국) -
토론 : 서굉일
1920년대 민족독립운동의 제양상 / 김흥수 -
토론 : 유승열

동아시아 사회의 연고주의와 세계화 / 유석춘
한국사회에서 연고주의의 작동방식과 효능감 / 박준식·이재혁
화교네트워크와 경제적 연고주의 / 박기철
일본정치와 연고주의 / 최은봉 - 토론 : 조규철
문학에서의 현대사와 가족주의 / 송승철
종합토론
최영희, 육가평(중국), 이준식, 황선희, 신재홍, 서굉일, 유승열
유석춘, 최상진, 박준식, 이재혁, 한준, 박기철, 강준영, 최은봉, 조규철, 송승철
서강목, 이일재, 장범성(사회)
날짜
1999년 6월 24일
1999년 12월 3일
장소
한림대학교 외국어교육원 2층 영사실
한림대학교 외국어교육원 2층 영사실
   
16회
17회
공동주제
미군정기 한국의 사회변동과 사회사
천황과 일본문화
주제발표

해방과 분단의 민족사적 의미 / 최영희(한림대) 민족해방과 전후 세계체제 / 이삼성(가톨릭대) 미군정과 남한의 국가건설 / 김영명(한림대)
주한 주일 미군정의 비교 연구 / 양기웅
(한림대)
한반도에서의 미 소군정 비교 연구 / 방선주
(한림대)
지배구조와 시민사회 / 김호기(연세대)
계급 및 계층구조 / 신광영(한림대)
사회제도의 지속성과 변화 / 박명규(서울대)
미군정기 지배구조 / 유석춘(연세대)
산업구조와 노동시장 / 박준식(한림대)
농민조직과 농민운동 / 김동노(연세대)
노동조직과 노동운동 / 정영태(인하대)
청년단체와 청년운동 / 이준식(연세대)
문화단체와 문화운동 / 이우영
(민족통일연구원)
사회집단별 사회의식 / 전상인(한림대)
남한의 인구 재구성 / 김두섭(한양대)
남한 인구유입의 사회인구학적 분석 / 강인철(한신대)
삶의 질과 일상생활 / 김호기(연세대)
계급 및 계층구조 / 유팔무(한림대)

천황제 성립이전의 왕권 / 연민수
고대 천황제 / 이근우
중세의 천황제 / 남기학
근세의 권력과 국가와 천황 / 이계황
근대 일본의 국가와 천황 / 박환무
일본 중세의 문학과 왕권 / 서정완
일본 근현대 문학에서의 천황제 / 윤상인
민속학에서 본 천황제 / 남근우
쇼와천황과 X데이 / 김대환
한국사에서 본 천황, 천황제 / 손승철
근세 일본의 천황과 '서양' / 윤병남
종합토론
참가자 전원 최창희, 김영명, 이일재, 함동주, 참가자 전원
날짜
1998년 1월 23일
1999년 1월 27일
장소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회의식(중앙관 6층)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회의식(중앙관 6층)
     
14회
15회
공동주제
국외에서의 항일민족운동
아시아의 근대화와 대학의 역할
주제발표

국외에서의 항일민족운동연구의 제문제 /
윤병석(인하대)
中國東北 抗日戰爭중에서의 韓民族의 역할과
그 역사적 지위
/ 曺文奇(中國 遼寧省 新賓縣 당안관)
中國關內 한인의 민족해방운동과 中國國民黨 / 노경채(수원대)
露領에서의 한민족운동과 러시아와의 관계 /
반병률(한국외국어대)

대학사회의 현실과 과제 / 이광주(인제대)
대학교육과 인도근대화 / 이옥순(숭실대)
중국의 대학교육과 혁명 / 백영서(연세대)
일본 근대화와 대학교육 / 이계황(인하대)
한국에서의 대학설립운동 / 김호일(중앙대)
일제하의 근대지식인과 민족운동 / 박찬승
(목포대)
해방후 대학의 팽창과 구조적 특성 / 이광호
(한국청소년개발원)
종합토론
최영희, 鄭武(中國 瀋陽世宗朝鮮語學校),
陸可平(中國 遼寧省 당안관), 이구용(강원대), 장세윤(독립기념과), 윤경로(한성대), 박환
(수원대)
최창희, 신광영, 정재걸(대구교대), 이성호,
엄기형(연세대), 김진식(인천교대), 박선영
(포항공대), 윤병남(서강대), 김흥수(춘천교대), 한시준(단국대)
날짜
1997년 8월 29일
1997년 11월 28∼29일
장소
춘천 두산리조트 에메랄드룸 (2층)
한림대학교 외국어교육원 영사실(2층)
   
12회
13회
공동주제
동아시아의 근대성과 민족주의
동아시아의 정치체제
주제발표

동아시아의 근대화와 근대성 / 신광영(한림대) 한말 지식인의 근대성과 민족주의 / 김동노
(연세대)
1910년대 친일문학의 근대성-최찬식의 경우 / 최원식(인하대)
梁啓超의 근대성 인식과 동아시아 / 백영서
(연세대)
伊藤博文의 [帝國]과 [臣民] / 박환무(한양대)

동아시아정체체제의 이론적 모색 / 김영명
(한림대)
한국의 정치체제 / 김일영(성균관대)
중국의 정치체제 -레닌주의 일당 체제의 변천 / 김재철(가톨릭대)
일본의 정치체제와 네트워크 / 진장수
(세종연구소)
싱가포르의 정치체제론 / 장원석(제주대)
대만정치체제 -일당체제에서 민주체제로의
진화 / 전재국(국방부)
종합토론
송승철, 김경일(정신문화연구원), 김영명,
박근갑, 서영채(한신대)
임성모(연세대), 주진오(상명대), 전상인
(한림대), 표교열(한림대)
이일재, 김영명(한림대), 김승채(고려대),
진창수(세종연구소), 전제국(국방부),
장원석(제주대), 최은봉(강원대), 김인영
(한림대), 김재철(가톨릭대)
날짜
1996년 11월 29 ∼30일
1997년 7월 15일
장소
한림대학교 외국어교육원 영사실(2층)
한림대학교 중앙관 소회의실
     
10회 (연구소 창립 10주년)
11회
공동주제
淸日戰爭(1894∼95)의 역사적 재평가
북한강유역의 유학사상연구
주제발표

李鴻章과 청일전쟁 / 金基赫(포항공대)
陸奧宗光과 청일전쟁 / 朴英宰(연세대)
大院君과 청일전쟁 / 柳永益(한림대)
청일전쟁시 淸軍의 동원과 朝鮮內 전투 상황 / 謝俊美(華東師範大)
日淸전쟁중 일본군부의 對韓政略 / 森山茂德
(獨協大)
청일전쟁과 英國 / Ian Nish(런던대 명예교수)

조선후기 북한강유역의 학맥과 분포 / 심경호
(고려대)
석실서원의 미호김원행과 그의 사상 / 오항녕
(한국사상연구소)
김상헌가문의 유학사상 / 조남호(서울대 강사)
화서이항로의 유학사상 / 유초하(충북대)
의암유인석의 유학사상 / 금장태(서울대)
북한강유역의 을미의병운동 / 오영섭
(한림대 박사과정)
종합토론
李光麟(사회자), 閔斗基(서울대), 金容德
(서울대), 宋炳基(단국대)
權錫奉(중앙대), 韓相一(국민대), 崔文衡
(한양대), 문희수(서원대)
이광호(한림대), 심경호(고려대), 허남진
(서울대), 오항녕(한국사상연구소)
이상익(성균관대), 조남호(서울대), 이봉규
(서울대), 유초하(충북대), 김형찬(고려대),
금장태(서울대), 윤용남(성신여대), 오영섭
(한림대), 박민영(인하대)
날짜
1994년 12월 2일∼3일
1995년 11월 24 ∼25일
장소
춘천세종호텔 세종홀
춘천세종호텔 세종홀(3층)
   
8
9회
공동주제
17∼19세기 東아시아 각국에서의 新國際秩序
모색
金裕貞문학의 재조명
주제발표

조선후기 對明義理論의 변천 / 李泰鎭(서울대) 淸代 중국의 '大一統'적 中華체계와 대외인식의 변동 : 아편전쟁시기까지 / 曺秉漢(계명대)
德川幕府의 대외체제와 明·淸의 교체 / 閔德基(청주대) 베트남 阮朝의 성립과 [大南]
제국질서 / 劉仁善(고려대)

김유정 소설의 문학사적 의미 / 金允植(서울대)
김유정 소설의 언어와 문체 / 全商國(강원대)
김유정 소설의 구조 / 洪廷善(인하대)
김유정 소설의 정서 / 全信宰(한림대)
종합토론
申光榮(사회자·한림대), 孫承喆
(한일관계사연구회), 金光玉(숭실대),
白永瑞(한림대), 宋寅瑞(강원대), 崔永禧
(한림대), 李一宰(한림대)
金基正(연세대 강사)
宋承哲, 徐俊燮(강원대), 李南昊(고려대),
柳仁順(강원대), 金哲(한국교원대)
날짜
1993년 11월 26일∼27일
1994년 3월 25일
장소
춘천세종호텔 세종홀
한림대학교 의학관 제3세미나실
     
6회 (미군정기정보자료집성 완간기념)
7회
공동주제
美軍政의 역사적 재평가
壬辰倭亂을 전후한 東아시아의 사회문화 동태
주제발표

美軍政期의 정보자료 : 유형 및 의미 / 方善柱(한림대)
미국의 한국점령정책 / John Merrill(미국무부)
조선공산당과 인민공화국 / 李庭植
(펜실바니아대)
좌우합작운동과 美軍政 / 徐仲錫(서울대 강사) 북한에서의 소련軍政과 공산주의자 / 和田春樹(동경대) 미군정과 북한 / 徐大肅(하와이대)

壬辰倭亂 연구를 위한 提言 / 崔永禧(한림대)
임진왜란과 한·일간의 문화적 대응 / 金泰俊
(동국대)
임란전후 韓國의 사회동태 / 李章熙(성균관대)
秀吉政權과 임진왜란의 특질 / 中村質
(日本, 九州大)
壬辰倭禍와 明朝 / 崔韶子(이화여대)
종합토론
柳永益(사회자·한림대), 崔永禧, 崔昌熙,
高柄翊, 梁好民, 申光榮, 沈之淵
姜禎求, 金永明, 孫世一, 金光殖, 朴思明,
정해구, 河龍出, 金昌順, 金南植
全海宗(사회자·정신문화연구원), 蘇在英
(숭실대), 李泰鎭(서울대)
李元淳(민족문화추진회), 吳金成(서울대)
날짜
1990년 11월 23일∼24일
1992년 11월 19일
장소
춘천세종호텔 세종홀
춘천리오호텔 무궁화홀
   
4회
5회 (종합대학교 승격기념)
공동주제
東亞(韓·中·日·越)의 전통적 가족제도 비교
21세기 文明과 아시아
주제발표

가족제도 연구의 몇가지 문제점 / 李萬甲
(인하대)
韓國의 가족제도 : 그 어제와 오늘 / 宋俊浩
(원광대)
中國의 가족제도와 婦女의 입장 / 金稔子
(이화여대)
전통 일본가족의 구조적 특징 / 李光奎(서울대)
베트남 전통가족제도와 부부관계 / 劉仁善
(고려대)

21세기 세계문명 속의 아시아 / 盧明植
대학교육의 방향과 과학정책 /趙完圭
儒敎傳統의 비판적 계승 / 許南進
아시아의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 洪廣燁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반도 통일전망 / 河龍出
태평양 경제권의 도전 : 21세기를 향한
세계경제질서 / 金宇澤
21세기 韓·中·日의 농업과 국제분업 / 蔣尙煥
동아시아와 서구의 사회이동 비교 / 車鍾千
한국 사회복지의 미래방향:서구복지 국가와의
비교를 통한 교훈 / 金泰星
21세기 아시아 대학의 역할과 과제 / 李宗宰
21세기 과학기술과 아시아의 변화 / 송상용
현대수학에의 초대 / 洪錫浩
물질의 최소단위와 힘의 통일이론 / 安永直
정보산업(컴퓨터)의 현재와 미래 / 趙永日
유전공학의 양면성 / 韓文熙
의료제도의 발전전망 / 韓達鮮
21세기 의료기술의 발전 / 朴琇誠
21세기를 향한 의학교육 / 朴亨鐘
종합토론
高炳翊(한림대), 柳永益(한림대), 吳金成
(서울대), 李勛相(동아대)
白永瑞(한림대), 文玉杓(정신문화연구원),
任奉吉(강원대)
韓 實, 朴思明, 金守中, 李在雄, 李炳天, 權 鈞,
李星鎬, 羅秉均, 金永明, 申光榮
趙炳泰, 金基協, 金洛中, 李勝民, 南基鳳,
閔昌泓, 盧賢模, 文玉綸, 金周完, 金馹舞
柳永益
날짜
1988년 11월 19일
1989년 10월 25일∼26일
장소
한림대학 의학관 제3세미나실
한림대학교 의학관 제3세미나실
     
3회
개교 5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
공동주제
제2차대전 종결기 東아시아의 新政治體制 구상
19세기 東亞三國의 기독교의 수용과 반응
주제발표

제2차대전 종결기 東아시아의 국제정세와
국내동향 / 車基璧(성균관대)
제2차대전후 中國의 신정치체제 구상 / 李炳柱
(영남대)
제2차대전 종결기 베트남의 신정치체제 구상
/ 金國振(외교안보연구원)
韓國民族主義 세력의 신정치체제 구상에 관한 분석 / 陳德奎(이화여대)
右翼政黨의 정치체제 구상과 실현과정
/ 沈之淵 (경남대)

韓·中·日의 古代史書 / 高炳翊(한림대)
중국고문헌의 사료적 가치 / 李成珪 (서울대)
日本古代史 연구에 있어서 史料의 신빙성 문제- {日本書紀}에 대한 史料批判 문제를 중심으로-
/ 金鉉球(고려대)
{三國史記} 上代記事의 신빙성 문제 / 盧泰敦
(서울대)
{三國遺事} 기록의 신빙성 문제 / 李基白
(한림대)
종합토론
柳永益(사회자·한림대), 梁好民(정치평론가),
辛勝夏(고려대), 金漢植
白永瑞(한림대), 金永明(한림대), 柳世熙
(한양대), 崔相龍(고려대)
高柄翊(한림대), 盧明植(한림대), 李光麟
(서강대), 黃元九(연세대)
金基赫(포항공대), 崔韶子(이화여대), 金容德,
琴章泰(서울대), 李萬烈(숙명여대)
날짜
1986년 11월 22일
1987년 11월 21일
장소
세종문화회관 대회의장
무역회관 대회의실
   
1회
2회
공동주제
아시아속의 韓國文化
동아 고대문헌의 신빙성 문제
주제발표

韓國 先史文化의 재조명 - 東아시아
先史文化와의 關係에서 / 金元龍 (서울대)
동양사와 韓國史-비교사의 관점에서- / 全海宗(서강대)
三言·二拍과 韓·日文學 / 李明九(한림대)

韓·中·日의 古代史書 / 高炳翊(한림대)
중국고문헌의 사료적 가치 / 李成珪 (서울대)
日本古代史 연구에 있어서 史料의 신빙성
문제- {日本書紀}에 대한 史料批判 문제를
중심으로- / 金鉉球(고려대)
{三國史記} 上代記事의 신빙성 문제 / 盧泰敦
(서울대)
{三國遺事} 기록의 신빙성 문제 / 李基白
(한림대)
종합토론
崔永禧(사회자·한림대), 韓炳三(국립박물관),
林炳泰(숭전대)
李基白(서강대), 黃元九(연세대), 李慶善
(한양대), 丁奎福(고려대)
李龍範(동국대), 洪淳昶(대구대), 金元龍
(서울대), 李基東(동국대)
李鍾旭(서강대)
날짜
1984년 6월 23일
1985년 11월 23일
장소
한림대학 강당(구관)
한림대학부속 춘천성심병원 강당
     

http://www.hallym.ac.kr/~asia/sub03_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