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인연]<서지월시인 만주기행>1-장춘을 가다
서 지 월
{
return true;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function anonymous()
{
new_win=window.open('skin/Cubic_gallery_by_hoony/view_img.php?file=data/photo_02/ch012p.jpg','img_win','left=0,top=0,width=1, height=1, resizable=yes, scrollbar=no,status=no'); new_win.resizeTo(655,390); new_win.focus()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function anonymous()
{
viewoff(); return true;
}" href="http://poemtree21.net/bbs/view.php?id=board_03&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아름다운인연&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63#">
{
return true;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function anonymous()
{
new_win=window.open('skin/Cubic_gallery_by_hoony/view_img.php?file=data/photo_02/ch011zp.jpg','img_win','left=0,top=0,width=1, height=1, resizable=yes, scrollbar=no,status=no'); new_win.resizeTo(684,406); new_win.focus()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function anonymous()
{
viewoff(); return true;
}" href="http://poemtree21.net/bbs/view.php?id=board_03&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아름다운인연&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63#">

내가 여섯번째 만주기행을 감행한 것은 지난 여름이었다. 인천국제공항에서 오전 9시 30분경에 출발한 출발한 아시아나여객기가 장춘에 도착한 시각이 오전 11시 30분경이었으니 한국과 중국의 시차 관계로 중국이 한시간 늦기 때문이었다. 이번 만주행은 벼려고 별러 오른 장정인 만큼 꿈이 부풀어 있었다.
장춘에서 길림으로 길림에서 돈화, 돈화에서 연길, 연길에서 도문, 도문에서 훈춘으로 갔다가 다시 연길을 경유해 장춘으로 돌아와 한국행 여객기에 오르는 일정이 그것이었다. 만주땅 어딜 가나 우리 조선족 동포들이 살고 있다는 것, 그리고 갈 때마다 그들이 오랜 옛사람처럼 친절하게 반겨준다는 것, 이런 동족애가 가장 깊이 자리하고 있는 곳이 만주땅이 아닌가 생각한다.
장춘공항에 도착해 짐을 끌고 나왔으나 아무도 마중 나온 이가 없어서 난감했으나 한참을 기다리니 조선족 두 청년이 내 앞으로 나타나 한국에서 오신 서지월선생님이시냐고 대뜸 묻는 것이었다. 두 청년은 장백산 문예잡지와 길림신문사에서 나왔다고 했다. 새로 조성된 장춘국제공항은 광활한 만주땅을 방불케 하듯 벌판 한가운데 우뚝했다.
장춘시까지까지 들어오는데 탁 트인 풍경이 압도적이었는데 바로 장춘은 중국 동북삼성의 하나인 길림성 성도로 러일전쟁 후 일본에 의해 세워진 만주국의 수도이기도 하다. 일본 군부가 1932년~1945년 사이 중국 동북지방에 세웠던 이때의 이름은 신경(新京)이다. 인구가 약 2백 13만 명 정도인데 조선족 인구는 5만 명 정도라 한다.
{
return true;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function anonymous()
{
new_win=window.open('skin/Cubic_gallery_by_hoony/view_img.php?file=data/photo_02/ch028zzp.jpg','img_win','left=0,top=0,width=1, height=1, resizable=yes, scrollbar=no,status=no'); new_win.resizeTo(711,421); new_win.focus()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function anonymous()
{
viewoff(); return true;
}" href="http://poemtree21.net/bbs/view.php?id=board_03&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아름다운인연&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63#">
{
return true;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function anonymous()
{
new_win=window.open('skin/Cubic_gallery_by_hoony/view_img.php?file=data/photo_02/ch035p.jpg','img_win','left=0,top=0,width=1, height=1, resizable=yes, scrollbar=no,status=no'); new_win.resizeTo(578,347); new_win.focus()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function anonymous()
{
viewoff(); return true;
}" href="http://poemtree21.net/bbs/view.php?id=board_03&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아름다운인연&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63#">

첫번째 볼거리로는 위황궁이었다. 만주국 황제의 궁전이었던 건물이다. 즉 청나라 마지막 비운의 황제 부이가 일본 군부에 의해 만주국 황제의 자리에 오른 뒤 일상생활을 보냄과 동시에 정무를 보았던 곳으로 유명하다. 정무를 보던 집무실이 있는 외정과 주거생활을 했던 내정으로 나누는데 외정에는 관동군사령관과 부이의 회견장면이나 아편에 찌들어 있는 황후 완융의 납인형이 전시되어 있는 집희루, 녹색의 돔이 솟아 있는 근민루 등이 있다.
내정의 동덕전은 길림성박물관으로 주목할 만한 것은 고구려 발해 때의 문물이 소장되어 있으며 동덕전의 홀은 영화 <마지막 황제>의 촬영에 사용되기도 했다 한다. <마지막 황제>라는 영화로 제작되어 당시의 역사를 말해주는 생생한 기록이 되기도 했다. 대화호텔에 짐을 풀고 한국에서 온 우리 일행이 먼저 찾아간 곳이 바로 그 위황궁이었던 것이다.
{
return true;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function anonymous()
{
new_win=window.open('skin/Cubic_gallery_by_hoony/view_img.php?file=data/photo_02/ch540zp.jpg','img_win','left=0,top=0,width=1, height=1, resizable=yes, scrollbar=no,status=no'); new_win.resizeTo(690,408); new_win.focus()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function anonymous()
{
viewoff(); return true;
}" href="http://poemtree21.net/bbs/view.php?id=board_03&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아름다운인연&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63#">
{
return true;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function anonymous()
{
new_win=window.open('skin/Cubic_gallery_by_hoony/view_img.php?file=data/photo_02/ch060azp.jpg','img_win','left=0,top=0,width=1, height=1, resizable=yes, scrollbar=no,status=no'); new_win.resizeTo(731,432); new_win.focus()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function anonymous()
{
viewoff(); return true;
}" href="http://poemtree21.net/bbs/view.php?id=board_03&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아름다운인연&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63#">

그 다음 찾아간 곳이 정월담(靜月潭)이었다. 장춘에는 남호(南湖)를 비롯해 거대한 호수가 여럿 있는데 면적이 서울 여의도의 10배가 넘는다는 정월담은 글자 그대로 달이 뜨면 고요한 풍광이 일품이라는 뜻으로 해석이 되는데, 나하고 한국에서 동행해 간 윤미전 강가애 신표균 장준향시인 등 우리 일행은 정월담에서 배를 띄워놓고 길림신문사와 장백산 문예잡지사 공동으로 한중교류 선상시낭송회를 열었다.
{
return true;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function anonymous()
{
new_win=window.open('skin/Cubic_gallery_by_hoony/view_img.php?file=data/photo_02/1192008195/ch559zp.jpg','img_win','left=0,top=0,width=1, height=1, resizable=yes, scrollbar=no,status=no'); new_win.resizeTo(645,383); new_win.focus()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function anonymous()
{
viewoff(); return true;
}" href="http://poemtree21.net/bbs/view.php?id=board_03&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아름다운인연&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63#">
{
return true;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function anonymous()
{
new_win=window.open('skin/Cubic_gallery_by_hoony/view_img.php?file=data/photo_02/ch559zp.jpg','img_win','left=0,top=0,width=1, height=1, resizable=yes, scrollbar=no,status=no'); new_win.resizeTo(645,383); new_win.focus()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function anonymous()
{
viewoff(); return true;
}" href="http://poemtree21.net/bbs/view.php?id=board_03&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아름다운인연&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63#">
{
return true;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function anonymous()
{
new_win=window.open('skin/Cubic_gallery_by_hoony/view_img.php?file=data/photo_02/ch563zp.jpg','img_win','left=0,top=0,width=1, height=1, resizable=yes, scrollbar=no,status=no'); new_win.resizeTo(728,431); new_win.focus()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function anonymous()
{
viewoff(); return true;
}" href="http://poemtree21.net/bbs/view.php?id=board_03&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아름다운인연&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63#">

길림신문사 리여천부사장과 장백산문예잡지사 김성림 시인의 환대를 받고 저녁 후에 인민대가를 따라 찾아간 곳은 문화광장이었다. 이 문화광장은 시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광장으로 어마어마했다 , 중앙에 1998년 장춘영화제를 기념하여 세워진 높이 36.5m의 태양조 기념비가 우뚝 솟아 있었으며 주위에는 남여를 상징하는 조각상 등이 밤의 네온싸인에 휘황찬란하게 빛나고 있었다. <계속>
**서지월시인/2002년, 중국「장백산문학상」수상 시인. 한중공동 시전문지「해란강」한국측 편집고문. 만주사랑문화인협의회 의장. |